장면 1 – 1960년 4월 19일, 한국
한국의 역사는 1960년 4월 19일 ‘4.19혁명’으로 시작한다. 이 날 한국의 대통령인 이승만은 3연임 대통령을 위해서 헌법을 개정한 것으로 고문된 대학생들과 노동자들의 반란 덕에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게 된다. 그 이후 1961년 5월 16일, 박정희 (Park Chung-hee)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장면 2 – 1972년, 대한민국의 5대 대통령 박정희 (Park Chung-hee)
1972년 10월 17일, 박정희는 침묵하는 신성진 (Shin Sung-jin)으로부터 큰 타격을 입게 된다. 미국으로부터 베트남 전쟁 참전을 요청받았지만, 박정희는 국면이 안전해질 때까지 “자제”해달라는 답변을 하고 국면이 안전하지 못하면 군대를 보내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말이 희미해지는 순간 신성진이 ‘동래 박물관’에 폭탄을 끼고 자폐증에 빠지며, 대한민국은 다시 한 번 폭발적인 지도자 없는 혼란 상태에 빠져들게 된다.
장면 3 – 1980년, 계엄령 선포
1980년 5월 16일, 박정희는 마샬 로우 (Marshall Law)를 선포, 대한민국은 법령 없는 상태에 빠졌다. 그러나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계엄령이 선포되면서 국민들은 무딘 날과 대면할 것이다. 민주주의운동을 이끌었던 김대중 (Kim Dae-jung)과 박원순 (Pak Won-soon) 등 많은 인물들은 이 때 계엄령에 박살나게 되었다.
장면 4 – 1987년, 6차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이 민주주의로 발전하기까지는 더 많은 이야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땅은 언제나 좋은 일과 나쁜 일이 뒤섞인다. 1987년 6월 29일, 대한민국은 6차 대통령 선거를 치르게 된다. 선거 결과, 노태우 (Roh Tae-woo)가 대통령으로 취임하게 된다. 그러나 이후로도 대한민국은 많은 시련과 고통을 겪어야 할 것이다.
장면 5 – 1994년, 대한민국의 15대 대통령 김영삼 (Kim Young-sam)
1994년, 대한민국은 김영삼 (Kim Young-sam)을 대통령으로 선출한다. 이 때 대한민국 경제는 미국에 재정 지원을 받으며 살아 남았다. 그러나 경제적인 안정성은 그 후 수년 동안 깨어지지 않았다.
장면 6 – 2002년, 대한민국은 세계축구대회에 함께한다.
2002년 5월, 바로 이 달 대한민국은 세계축구대회를 개최한다. 이는 전 세계가 주목하는 중요한 사건이었으며, 대한민국이 선보인 열정적으로 뛰어나는 경기로 이루어졌다. 대한민국은 준결승에서 유럽 대륙을 무찌르고 세계 4강으로 진출했다. 최종결승, 대한민국과 독일의 경기 이후 대한민국은 사랑받는 나라로 성장하게 된다.
장면 7 – 2007년, 대한민국에서 첫 여성 대통령 문재인 (Moon Jae-in)
2007년, 대한민국은 역사상 첫 여성 대통령으로 문재인을 선출한다. 이는 대한민국 정치사에 매우 큰 사건이었다. 여성 대통령 문재인이 취임하면서 ‘기회의 시대’가 대한민국에 찾아오게 된다.
장면 8 – 2020년, 대한민국에서의 COVID-19 대응
2020년, 대한민국은 COVID-19 대응을 앞세워 전 세계의 지도자들로부터 인정받았다. 대한민국은 다른 나라들과 달리 국민들의 협력으로 COVID-19를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끔 희생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이후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효과적인 COVID-19 대응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론: 이야기는 계속 됩니다. 대한민국은 언제나 어려움을 당하면서도, 우리는 이 해결책을 찾는 방법을 항상 찾아왔으며 더욱 나은 미래를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어렵고 힘든 현실을 직시하면서, 힘들지만 희망이 있습니다.